전통 온돌(구들) 공사

전통 온돌(구들) 공사

사람에게 좋다고 하는 전통 온돌 구들장 시공…
특히 그 부뚜막, 아궁이, 온돌방은 여자에게 특히 최고라고 합니다.

온돌공사

일반사항

1. 적용범위

ㄱ. 이 시방은 문화재수리 및 이에 준하는 공사 중 온돌공사에 적용한다.

ㄴ. 온돌공사라 함은 구들, 연도, 굴뚝, 아궁이 등의 수리 및 설치를 말한다.

2. 쓰임말정리

ㄱ. 온돌 : 난방을 하기 위하여 방바닥 밑에 불을 지펴서 바닥을 덥게 하는 구조체

ㄴ. 고래둑 : 구들장을 올려 놓기 위해 진흙, 돌, 와편, (흙)벽돌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만든 두둑

ㄷ. 고래 : 고래둑과 고래둑 사이의 공간

ㄹ. 구들장 : 굄돌, 고래둑에 걸쳐 놓아 방바닥을 형성하는 넓고 얇은 돌

ㅁ. 굄돌 : 고래둑을 설치하지 아니하는 곳 또는 허튼고래에서 구들장을 받도록 한 구조물

ㅂ. 개자리 : 고래를 통해 흐르는 화기와 연기를 모아 굴뚝으로 보내기 위해 일정한 나비와 깊이로 방구들

윗목에 파낸 고랑

ㅅ. 불목 : 불아궁 안에서 장작 등의 땔감이 연소되는 곳으로 아궁이 쪽의 화기와 연기를 고래로 넘어가게

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불고래를 만든 구조

ㅇ. 함실 : 부뚜막을 두지 않는 구조에서 방바닥 밑으로 직접 불을 때게 만든 아궁이

ㅈ. 사춤돌 : 구들장을 놓은 다음 그 사이에 끼워 메우는 작은 돌

ㅊ. 시근담 : 구들장을 걸치기 위해 고막이 안쪽으로 내어 쌓은 고래둑

ㅋ. 고래바닥 : 고래둑을 쌓아 올리거나 굄돌을 놓기 위해 다져 놓은 바닥

ㅌ. 연도 : 개자리에서 굴뚝으로 연결하는 연기의 통로

ㅍ. 고래켜기 : 온돌방에 구들을 놓을 때 바닥을 도랑모양으로 줄지어 파고 그 옆 두둑을 만드는 일

ㅎ. 부넘기 : 구들골이 시작되는 어귀에 조금 높게 만든 언덕

ㄱㄱ. 고래구멍 : 아궁이 불목에서 고래로 화기와 연기가 지나갈 수 있도록 고막이 벽을 뚫은 구멍

ㄱㄴ. 함실장 : 함실아궁이 위를 덮는 넓고 두꺼운 구들장

ㄱㄷ. 불목돌 : 불목을 덮는 넓고 두꺼운 구들장

ㄱㄹ. 거미줄치기 : 구들장 사이의 틈을 사춤돌로 채우고 진흙으로 메워 바르는 것

ㄱㅁ. 굴뚝개자리 : 굴뚝하부를 한층 깊이 파서 연기의 역류를 막으며, 그을음?재 등이 모이게 하는 곳

재료

1. 구들(장)

ㄱ. 두께 60㎜ 내외의 얇고 넓게 쪼갠 점판암 또는 화강암 등을 사용한다.

ㄴ. 구들장은 일반적으로 정방형의 형태를 사용한다. 단, 구들의 형태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구들장을

사용할 수 있다.

ㄷ. 이 밖에 고래둑, 시근담, 함실, 개자리, 굴뚝 등에 사용하는 재료는 기존 기법(돌, 와편, 전돌쌓기)에

따른다.

조사

1. 사전조사

ㄱ. 구들, 아궁이, 굴뚝의 위치, 형태, 규모 등

ㄴ. 구들장의 침하 위치와 침하 정도

2. 해체조사

ㄱ. 바닥의 장판지를 제거한 후 방바닥과 하방의 높이차 등

ㄴ. 구들장 위의 부토, 미장바르기 등의 바름횟수, 두께, 사용재료 등

ㄷ. 구들장 각각의 규격과 설치 위치, 형태 등

ㄹ. 고래둑의 형태 및 설치방식, 고래바닥의 경사도 등

ㅁ. 개자리의 위치와 규격, 사용재료, 불목, 함실의 크기와 위치, 형태 등

ㅂ. 부뚜막, 아궁이, 굴뚝, 연도 등의 형태, 크기 등

ㅅ. 건립 당시와 근래 수리시의 변형여부를 확인

해체

ㄱ. 구들장 위의 부토와 미장바르기를 제거하고 구들장을 해체한다.

ㄴ. 구들장은 윗목에서 아랫목 방향으로 해체하고, 해체시 고래둑, 개자리 등이 훼손되지 않도록 한다.

ㄷ. 고래둑은 한 고래씩 해체한다.

ㄹ. 고래둑을 해체하기 전에 굄돌을 해체하여 따로 적치한다.

ㅁ. 불목, 함실, 개자리, 연도는 부분별로 해체한다.

ㅂ. 해체된 구들장은 세워서 보관한다.

ㅅ. 고래바닥은 조사목적 이외에는 해체하지 아니한다.

시공

1. 구들놓기

1.1 고래켜기

ㄱ. 고래켜기는 기존의 구들형태(나란히고래, 선자고래, 허튼고래, 기타고래)와 같게 한다.

ㄴ. 아궁이, 고래바닥, 개자리, 연도, 굴뚝 등의 밑바닥은 설계도서에 따라 파내거나 돋우어 손달구 등으로

다짐한다.

ㄷ. 고래바닥은 연기의 흐름을 좋게 하기 위하여 아궁이 쪽은 낮게, 개자리 쪽은 높게 하여 경사지도록 한다.

구들의 구조


ㄹ. 고래바닥은 아궁이 쪽은 부넘기를 설치하고, 개자리 쪽은 바람막이를 설치한다.

ㅁ. 아궁이에서 재거름을 할 수 없는 고래는 아궁이 양옆 고막이에 재거름구멍을 설치하고 막는다.

1.2 고막이 시근담 쌓기

ㄱ. 구들이 놓여지는 방의 고막이는 시근담과 일체되도록 동시에 쌓는다.

ㄴ. 고막이 및 시근담의 기초부는 고래바닥보다 깊게 한다.

ㄷ. 고막이벽은 하방과 밀착시키고, 시근담은 고래둑과 높이를 같이 하되, 폭은 120㎜ 이상으로 한다.

ㄹ. 쌓기완료된 시근담은 화기, 연기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진흙으로 면바르기 한다.

ㅁ. 고막이, 시근담에 사용하는 재료는 돌, 와편, 전돌 등을 사용한다.

1.3 불목

ㄱ. 불목은 아궁이에서 화기와 연기가 고래로 넘어갈 수 있도록 설치된 고래구멍, 불고개, 부넘기로

구성하여 시공한다.

ㄴ. 고래구멍 바닥에서 고래바닥으로 연결되는 불고개는 경사도 70~80° 정도로 경사지게 설치한다.

ㄷ. 부넘기는 고래바닥이 시작되는 어귀에 잔돌과 반죽한 진흙으로 원뿔형 모양으로 설치한다.

ㄹ. 부넘기는 고래둑의 높이, 고래바닥의 나비에 따라 적정한 폭과 높이로 한다.

ㅁ. 불고개의 경사면은 화기와 연기가 잘 넘어갈 수 있도록 진흙 또는 생석회를 섞은 진흙으로 면바르기

한다.

ㅂ. 불목 부분에 있는 하방, 문지방 등의 목부재는 최소 200㎜ 이상 진흙 등의 불연재료로 감싼다.

1.4 함실

ㄱ. 함실의 형태는 반원형, 방형, 일자형 등으로 설계도서에 따른다.

ㄴ. 함실벽은 수직으로 축조하고, 불고개를 설치할 경우에는 70~80° 내외로 경사지게 설치할 수 있다.

ㄷ. 함실의 크기는 설계도서에 따르되, 고래방향으로 300~600㎜, 아랫목 벽체방향으로 450~600㎜

내외로 시공한다.

ㄹ. 함실아궁이 양옆에는 붓돌을 세우고 상단에는 화기방지턱이 있는 이맛돌을 걸쳐 놓는다.

ㅁ. 이맛돌 하단은 하방, 토대 등 목부재로부터 최소 200㎜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ㅂ. 함실벽 쌓기용 재료는 막돌, 와편, 전벽돌, 가공석 등을 사용한다.

ㅅ. 함실아궁이 문의 재료는 주철재 또는 철판을 사용한다.

1.5 개자리

ㄱ. 개자리는 방과 고래의 형태에 따라 1변 또는 2변에 개자리를 설치한다.

ㄴ. 개자리는 폭 240~450㎜, 깊이 300~600㎜ 내외로 설치한다.

ㄷ. 개자리 벽은 막돌, 와편, 화강석, 전벽돌 등을 사용하여 평면 줄바르게 쌓고 진흙바르기 등으로

마감한다.

ㄹ. 개자리 바닥은 수평으로 하여 잘 다진다.

1.6 고래둑 쌓기

ㄱ. 고래둑의 형태와 개수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ㄴ. 고래둑 쌓기의 재료는 막돌, 전벽돌, 흙벽돌, 와편, 화강석 등으로 한다.

ㄷ. 고래둑의 폭은 150~300㎜, 높이는 150~450㎜ 내외로 한다. 이때, 고래 간격은 300㎜ 정도로 한다.

ㄹ. 고래둑의 나비는 일정하게 하되, 아궁이 쪽에서 꺾어 선자고래 형식을 취할 때는 고래둑의 나비를

조정하여 설치한다.

ㅁ. 고래둑의 중간을 끊어 설치할 경우에는 담당원의 지시에 따른다.

ㅂ. 허튼고래로 시공할 경우에는 고래둑을 쌓지 않고 굄돌로 구들장을 고인다.

1.7 구들장 놓기

ㄱ. 아랫목에 시공하는 함실장, 불목돌과 출입이 많은 곳에는 일반 구들장보다 두껍고 큰 것을 사용한다.

ㄴ. 구들장은 아랫목에서 윗목방향으로 약간 높고 경사지게 설치한다.

ㄷ. 고래둑 위에서의 구들장과 구들장의 틈새는 30㎜ 내외로 하고 고래에서의 구들장은 맞대어 설치한다.

ㄹ. 구들장은 길이방향이 고래둑에 얹혀지도록 한다.

ㅁ. 구들장 각각의 모서리가 고래둑에 밀착되지 않을 경우에는 굄돌을 고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ㅂ. 구들장이 맞닿는 부분에 생기는 틈은 사춤돌로 채우고 반죽한 진흙으로 화기나 연기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거미줄치기를 한다.

ㅅ. 부토는 건조된 부드러운 흙 또는 마른 모래를 사용하며, 두께 30㎜ 이상으로 깔고 수평지게 고른다.

ㅇ. 부토 위에 중간 정도 묽기의 진흙반죽을 수평되게 초벌바르기를 하고 아궁이에 불을 넣어 바닥을

충분히 건조시킨다.

ㅈ. 초벌바르기를 한 바닥이 건조되면 적당한 묽기의 진흙반죽으로 수평되게 재벌바르기를 한다.

ㅊ. 재벌바르기 후 건조되면 진흙 또는 생석회로 미장바르기를 한다.

1.8 연도

ㄱ. 연도는 개자리구멍과 굴뚝사이를 직선으로 연결한다.

ㄴ. 연도는 개자리 깊이의 중간보다 낮은 곳에서 뚫어 나가게 한다.

ㄷ. 윗면은 판석 등으로 얹고, 돌과 돌 사이의 틈은 잔돌과 진흙으로 메우고 생석회반죽 등으로 마감한다.

ㄹ. 옆면은 화강석, 전벽돌 또는 막돌쌓기 등으로 시공한다.

2. 굴뚝

2.1 재료

ㄱ. 굴뚝에 사용하는 재료는 내화, 내열 및 내구적인 것을 사용한다.

ㄴ. 굴뚝은 돌과 반죽한 진흙을 켜로 쌓거나, 속을 파낸 원통형 나무, 목재, 토관, 전벽돌 등을 이용하여

시공한다.

2.2 설치방법

ㄱ. 각각의 재료에 따른 굴뚝의 설치방법은 이 시방에 따른다.

ㄴ. 굴뚝개자리는 폭 300㎜ 내외, 깊이 180~900㎜ 내외로 설치한다. 단, 연기의 흐름에 지장이 없는

경우에는 담당원의 승인을 받아 굴뚝개자리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ㄷ. 굴뚝배기구는 설계도서에 정한 바가 없는 경우에는 지붕 처마에서 600㎜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ㄹ. 굴뚝 상부에는 판석, 연가, 기와 등으로 덮어 빗물 등의 침투를 방지한다.

3. 부뚜막

3.1 재료

ㄱ. 부뚜막에 사용하는 재료는 내화재료를 사용한다.

ㄴ. 부뚜막의 외벽, 아궁이의 내벽은 막돌 등을 사용하여 진흙으로 쌓고, 부뚜막 외벽마감은 생석회 반죽

등으로 바른다.

3.2 설치방법

ㄱ. 부뚜막의 크기는 설계도서에 따른다.

ㄴ. 아궁이와 불목이 연결되는 고막이 부분에는 고래구멍을 설치한다. 고래구멍의 상단은 하방으로부터

200㎜ 이상 이격하고 내화재료를 사용한다.

ㄷ. 부뚜막의 외벽과 아궁이의 내벽을 쌓아 올리면서 내부에는 진흙 또는 잡석 섞은 흙으로 채워 넣는다.

ㄹ. 채우기가 완료된 부뚜막 상면에는 잡석을 깔고 진흙 또는 생석회반죽으로 마감한다.

4. 불때기

ㄱ. 구들말리기, 구들 불길의 확인을 위하여 불때기 할 경우에는 때기 시작하여 완전히 꺼질 때까지

불을 감시하는 사람을 두고, 소화기 등을 준비한 후 불때기 한다.

ㄴ. 불때기를 할 때 방의 내부, 외부의 고막이, 연도, 굴뚝 등을 점검하여 화기나 연기가 새어나오는지

확인한다.

ㄷ. 불은 열이 서서히 올라가도록 조절하여 불을 때고, 불길이 구들 사이의 갈라진 틈이나 고막이 등으로

새어 나올 경우에는 갈라진 틈을 메운 후 다시 불때기 한다.

ㄹ. 불때기가 끝나면 아궁이 내의 불을 완전히 끄고, 불씨와 가연물질을 제거한 후 담당원의 승인을 받는다.

0 replies

Leave a Reply

Want to join the discussion?
Feel free to contribute!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입력창은 * 로 표시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