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멋적은 테라스를 모던형으로

멋적은 테라스를 모던형으로 꾸몄습니다.
어디선가 많이 본 듯한 구조, 군더더기 없는 실내, 닫힌 듯 열려 있는 공간.
생각의 전환과 함게 새로운 인테리어 방법까지 제시하고 있는 듯한 집으로 보면서 구조가 전통 한옥을 닮았다 생각했어요.
우리의 전통 한옥 반가의 “채” 개념으로 중앙에 거실(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양 옆으로 실(주방,방)을 배치 했고
거실(대청마루) 앞에 소통의 장인 멋진 테라스(마당)까지 있으니 바로 한옥의 구조가 연상되더라구요.^^

 

그럼 우리의 전통 한옥의 구조를 닮은 테라스가 멋진 모던 인테리어에서 편한 마음으로 머물러 보세요~^^

공간공간 마다 기대를 가지고 보게 되는 담백한 구조가 멋스럽고 인테리어 또한 너무 마음에 들어요.
거실을 중심으로 정면에는 마당 닮은 중정 역활의 테라스 공간이, 그 옆으로는 주방이, 안방과 아이방이 있는 구조로

 

겉보이기에 화려하고 눈에 띄는 멋을 낸 인테리어 공간이 실용성에 의해 가족을 위해 만든 느낌이네요.

거실(대청마루)의 공간이 확장된 듯한  우리네 한옥의 정서를 고스란히 담아낸 심플하고 멋스러운 테라스.
제 마음에 쏘옥 들었던 소통의 장이 있는 멋진 테라스 공간이에요.

 

나중에 집을 지을 일이 있다면 꼭 이집처럼 이런 공간을 만들어 보고 싶단 생각을 했어요.

자료공유 : 프로방스집꾸미기

실제 거주하고있는 동화 같은 아름다운 건축물

 

동화 속에 등장하는 오두막(cottage)들이 실제로 지어져 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1783년 마리 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를 위해 지어졌다고 한다.

왕비의 촌락은 오두막의 비율과 초가 지붕에서부터 한쪽으로 기운 계단과

아름다운 정원으로 구성되어 현대 오두막 복사판에 영향을 주었다고 한다.

 

 

The Storybook Cottage는 뉴욕 Dutchess County의 작은 마을인 Rhinebeck에 자리잡고 있다.

 

영국에서는 드물게 볼수 있는 초가 지붕 오두막.

Southern England에는 250여채의 초가 지붕 집들이 있다고 한다.

Rounded Stone

 

 

 

 

 

 

 

 

 

1927년에 지어졌으며 휴 컴스탁의 사무실이었다고 한다.

현재는 차 마시는 휴게실이 있는 선물가게라고 한다.

또 다른 휴 컴스탁의 집이었다고 한다.

 

Wooden Cottage (폴란드 Bialka Tatrzanska 소재)

출처 전원의 향기

해외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고 미국의 강조망이 시원한 산비탈에 친환경 은둔 사무실

산비탈에 나무로 만들어진 사무실이 해외인터넷에서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 주 벨링햄(Bellingham) Chuckant Bay에 위치한 이색 오피스(office)는 프로젝트 작가인 Peter Frazier의

작업 공간을 위해 만들어졌다. 이 사무실은 산 속에 그린 루프(green roof)로 만들어져 해외인터넷에서

화제를 모은 은둔(hermit) 사무실이다.    (inhabitat.com / flickr.com)

 

 

 

출처 전원의 향기

생태건축가 남궁곤 교수가 이야기하는 “인간의 생명을 살리는 친환경 생태건축”

아래 기사는 생태건축가 남궁곤교수가 이야기하는

“인간의 생명을 살리는 친환경 생태건축”이라는 제목으로

고양신문 2015년 5월 6일에 게제 된 내용입니다.

고양신문1

사본 -dd001

사본 -dd001

생태건축이란 생태계 파괴로 직결되는 기존의 건축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대두된

대안적 건축의 한 형태이다. 현재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 널리 전파되고 있는 신경향 건축의 한 갈래

로서의 생태건축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생태학적 인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 명칭은 1979년

P.&M. Krusche 등이 연방환경부에 제출할 연구보고서의 제목을 결정하는 자리에서 공식적으로 명명

되었다. 여기서 생태건축을 ‘자연환경과 조화되며 자원과 에너지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최대한 효율적

으로 이용하여 건강한 주생활 또는 업무가 가능한 건축’으로 정의했다.

생태건축은 건축이 자연생태계의 일부가 되는 시스템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가 거의

없이 자연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이를 위해 단위 건물이나 주거단지 등에서의 에너지와 자원의

순환체계는 토양, 물, 태양, 공기 등이 지닌 자연의 순환체계와 서로 통합되도록 계획된다. 이러한 순

환체계는 매우 다양하게 연계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생태건축이 추구하는 건축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과 에너지의 생태적 이용을 위해 건축물의 생산과 유지관리에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의 수요

를 최소화하고 순환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자연자원과 재생 가능한 자원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며 태양에너지의 이용이나 자연조건을 최대한 활용한 실내 기후조절장치와 식생을 이용한 건물

외피의 보호 등의 계획요소가 필수적으로 도입된다.

둘째,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목표로 한다. 기존건축이 자연환경의 심미적 측면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

생태건축은 환경부하의 저감이나 생물서식환경과 건축 환경과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물리적·생물학적 측면의 조화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공기의 오염, 폐열, 폐기물, 폐수의 양과 농도 그리고 토양에 대한 포장을 최소화하고 대지 주변에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기법을 적극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건축물을 배치하여 건강한 주생활과 업무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자연조건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입지 선정이나 배치, 건물의 형태, 재료의 선택, 건물 내외부의 기능적 연계성과 수목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수립한다.

일반인에게도 콘크리트건축물에 거주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생태건축이 대두되고 있다. 심근경색으로 쓰러졌다가 손수 흙집을 짓고 집근처에서 나는 음식물을 섭취하며 환경 친화적인 생활을 하면서 건강을 회복한 부부, 건축 환경을 목조마감으로 변경하여 피톤치드를 풍부히 하고 습도조절을 해서 아토피 증상이 완화된 어린이 등 다양한 사례가 방송에서도 소개되었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맞아 자연과 환경을 고려한 우리의 건축문화를 바라보는 시각도 달라져야 한다. 우리는 지금 콘크리트 무덤 속에서 건강을 위협받으며 질병과 싸우며 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통 받는 환자가 연간 104만 명으로 영·유아 32.8%, 40~50대 성인 환자도 28%로 급증하고 있다. 이제 건축물은 생태건축 3요소인 지구환경의 보존, 주변 환경과의 친화성, 거주환경의 건강성 및 쾌적성을 반드시 고려해서 지어야 한다. 또한 친환경 건축자재의 활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태적 삶의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

남궁곤(생태건축가, 서울브라운평생교육원 대표)

 

2016년 3월 건축학위과정 예비 신입생 모집안내

이름 : 건축교육원
연락처 : 070-7726-4443

<2016년 3월 건축학위과정 예비 신입생 모집안내>

■ 건축교육원은 건축특성화 교육과정으로 현장실무실습 교육과정을 통하여 창조적인 건축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운영
■ 건축특성화 교육과정을 통하여 건축학위와 건축기사 자격증 취득 후 국내 건축 관련 우수기업 취업 교육과정과 서울권 대학교
건축 관련학과 편입 특성화 교육과정을 운영
■ 건축교육과정은 현장실무실습 위주의 교육과정으로 현장중심의 교수진 편성과 현장실무실습을 통한 건축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

<교육과정>
■ 취업특성화 교육과정
〔건축전공학위 취득+건축자격증 취득+현장실무실습교육〕국내․외 우수업체의 산학협력 교육시스템으로 취업
■ 편입특성화 교육과정
〔건축전공 학위취득+건축자격증 취득+편입(실기고사+영어)〕서울권 건축대학교에 3학년 편입

<학위취득 및 교육기간 안내>
■ 건축전문학사학위 취득과정
교육기간 3학기(학점은행제 66학점+건축산업기사 16학점= 82학점)
〔건축산업기사 취득 후 취업이나 일반편입을 통하여 서울권 건축대학에 3학년 편입〕
■ 건축학사학위 취득과정
교육기간 5학기(학점은행제 105학점+건축산업기사 16학점+건축기사 20학점= 141학점)
〔건축기사 취득 후 취업이나 학사편입을 통하여 서울권 건축대학에 3학년 편입학〕

<교육내용>
■ 취업특성화
이론 : 자격증 취득(건축산업기사, 건축기사 등)을 위한 건축전공 학습과목 편성
실습 : 자격증 취득(건축제도, 건축설계, 스케치, CAD설계 등)을 위한 학습과목 편성
현장실무실습 : 시공, 설비, 전기, 생태건축, 목조건축, 황토건축 등을 위한 학습과목 편성
■ 편입특성화
이론 : 자격증 취득(건축산업기사, 건축기사 등)을 위한 건축전공 학습과목 편성
실습 : 자격증 취득(건축제도, 건축설계, 스케치, CAD설계 등)을 위한 학습과목 편성
편입준비 : 편입영어, 전공실기고사, 스케치 등의 학습과목 편성

2016년 3월 건축학위과정 신입생 상담은
입학상담실 02-359-6779, 건축교육원 직통 070-7726-4443 / 010-9745-3133 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