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tries by sacollege

한국에서 가장 웃긴 집, 이렇게 탄생했다.

한국에서 가장 웃긴 집, 이렇게 탄생했다 ‘반쯤 미친 건축가’를 찾는 건축주 2006년, 30대 초반의 젊은 건축가 고기웅은 다니던 건축사무소를 나와 자기 사무소 고기웅사무소를 차려 독립한다. 자기 집이 새파란 건축가의 데뷔작이 되기를 바라는 건축주는 드문 법. 그래서 대부분 건축가의 첫 건축주는 부모를 비롯한 가족이거나, 친구이거나 또는 아는 사람들이 다리를 놔준 이들이 되기 마련이다.   고기웅씨 역시 […]

3학기에 학사학위를 취득한 박원호 학생이 이야기 하는 학위기

3학기에 학사학위를 취득한 박원호 학생이 이야기 하는 학위기     서울브라운평생교육원의 개인별 학습설계에 따라 나는 3학기에 이렇게 학사학위를 취득 하였다! (141학점 : 학점은행제수업 66학점+독학사 1단계 20학점+독학사 2단계 5학점+자격증 텔레마케팅 18학점+매경테스트 18학점+행정관리사 14학점) 2013학번 경영학전공 박원오 브라운평생교육원에 입학하기 전 저는 직장을 다니며 수능을 준비했습니다. 일과가 끝나고 저녁 8시30분부터 독서실 문이 닫힐 때까지 공부하며 시간이 나는 주말에도 쉬지 […]

너무 아름답고 친환경적인 황토집.!!

너무 아름답고 친환경적인 황토집.!!   흙집에서 살때 좋은점.. 새 집을 짓고 입주할때 신축건물에서 나타나는 화학 냄새가 전혀 없다. 일반적으로 새 아파트에 입주하거나 새 건물을 짓고 입주할때 집 안에서 나는 냄새는 6개월에서 1년 동안 지속된다.   콘크리트에서 배출하는 가스나 페인트 벽지, 접착본드 등에서 발생하는 냄새이다. 하지만 흙집은 흙벽 자체가 자연소재이고 화학 제품을 쓰지않으므로 해서 냄새가 있다 […]

외국인의시각으로 설계한 한국형 전원주택

    용인 향린동산에 지은 모던풍의 이 주택은 네덜란드 디자이너가 설계했다. 네덜란드인이 했다는 것보다는 합리적이고 실용적인 네덜란드인 특유의 사고 방식과 문화를 건축물에 담았다는 부분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공간구성을 건축주의 일상생활에 편리하도록 계획했다는 점과 고가의 수입 재료를 고집하지 않았다는 점, 그 대신 ‘몸에 꼭 맞는’ 집을 완성하기 위해 어떻게 보면 건축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인 설계에 […]

소나무 숲 속에 소나무로 완성한 통나무집

소나무 숲 속에 소나무로 완성한 통나무집 [           사람은 자연과 함께 살아야 한다고 정씨(60)는 항상 생각했다. 흙과 나무로 집을 짓고, 잔디 깔고 텃밭 일구며 살아야 살 만한 삶이라고 여겼다. 마침 얻은 집터가 소나무 숲 깊은 곳이었다. 사방이 소나무이니 집도 소나무로 짓자고 생각했다. 그렇게 소나무 숲 속에 소나무 통나무집이 완성되었다. 강원도 속초와 […]

마당으로 면적을 넓히고 층으로 기능을 나눈 집

설계는 건축주의 현재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하고 미래를 예상해 평면과 입면, 동선에 담아내는 과정이다. 여기에는 대지조건과 법규, 건축주의 예산 등도 함께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건축 전문가인 설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홈플랜건축사사무소 이동진•김소연 건축가를 통해 복잡다단한 설계의 숨은 의도를 찾아본다. 건축주의 요구사항 “저희는 두 아이를 둔 젊은 부부로, 평일에는 네 명의 가족이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주말에는 안팎으로 확장될 수 있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