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농촌의 빈티지 전원주택 인테리어
사진제공출처:프로방스집꾸미기
사진제공출처:프로방스집꾸미기
아래 기사는 생태건축가 남궁곤교수가 이야기하는
“인간의 생명을 살리는 친환경 생태건축”이라는 제목으로
고양신문 2015년 5월 6일에 게제 된 내용입니다.
생태건축이란 생태계 파괴로 직결되는 기존의 건축이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새롭게 대두된
대안적 건축의 한 형태이다. 현재 독일을 중심으로 유럽에 널리 전파되고 있는 신경향 건축의 한 갈래
로서의 생태건축은 자연환경의 중요성에 대한 생태학적 인식에 기인하는 것으로 이 명칭은 1979년
P.&M. Krusche 등이 연방환경부에 제출할 연구보고서의 제목을 결정하는 자리에서 공식적으로 명명
되었다. 여기서 생태건축을 ‘자연환경과 조화되며 자원과 에너지를 생태학적 관점에서 최대한 효율적
으로 이용하여 건강한 주생활 또는 업무가 가능한 건축’으로 정의했다.
생태건축은 건축이 자연생태계의 일부가 되는 시스템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환경에 대한 부하가 거의
없이 자연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한다. 이를 위해 단위 건물이나 주거단지 등에서의 에너지와 자원의
순환체계는 토양, 물, 태양, 공기 등이 지닌 자연의 순환체계와 서로 통합되도록 계획된다. 이러한 순
환체계는 매우 다양하게 연계되며 서로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다.
생태건축이 추구하는 건축적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원과 에너지의 생태적 이용을 위해 건축물의 생산과 유지관리에 필요한 에너지와 자원의 수요
를 최소화하고 순환 활용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자연자원과 재생 가능한 자원을 우선적으로
활용하며 태양에너지의 이용이나 자연조건을 최대한 활용한 실내 기후조절장치와 식생을 이용한 건물
외피의 보호 등의 계획요소가 필수적으로 도입된다.
둘째,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목표로 한다. 기존건축이 자연환경의 심미적 측면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
생태건축은 환경부하의 저감이나 생물서식환경과 건축 환경과의 조화를 도모하기 위해 물리적·생물학적 측면의 조화에 초점을 맞춘다. 따라서 공기의 오염, 폐열, 폐기물, 폐수의 양과 농도 그리고 토양에 대한 포장을 최소화하고 대지 주변에 다양한 종류의 동식물 서식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계획기법을 적극 도입한다.
마지막으로 주변경관과 조화를 이루도록 건축물을 배치하여 건강한 주생활과 업무가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자연조건과 에너지 효율을 고려한 입지 선정이나 배치, 건물의 형태, 재료의 선택, 건물 내외부의 기능적 연계성과 수목과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건축계획을 수립한다.
일반인에게도 콘크리트건축물에 거주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안으로 생태건축이 대두되고 있다. 심근경색으로 쓰러졌다가 손수 흙집을 짓고 집근처에서 나는 음식물을 섭취하며 환경 친화적인 생활을 하면서 건강을 회복한 부부, 건축 환경을 목조마감으로 변경하여 피톤치드를 풍부히 하고 습도조절을 해서 아토피 증상이 완화된 어린이 등 다양한 사례가 방송에서도 소개되었다.
평균수명 100세 시대를 맞아 자연과 환경을 고려한 우리의 건축문화를 바라보는 시각도 달라져야 한다. 우리는 지금 콘크리트 무덤 속에서 건강을 위협받으며 질병과 싸우며 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통 받는 환자가 연간 104만 명으로 영·유아 32.8%, 40~50대 성인 환자도 28%로 급증하고 있다. 이제 건축물은 생태건축 3요소인 지구환경의 보존, 주변 환경과의 친화성, 거주환경의 건강성 및 쾌적성을 반드시 고려해서 지어야 한다. 또한 친환경 건축자재의 활용을 통해 지속가능한 생태적 삶의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
남궁곤(생태건축가, 서울브라운평생교육원 대표)
이름 : 건축교육원
연락처 : 070-7726-4443
<2016년 3월 건축학위과정 예비 신입생 모집안내>
■ 건축교육원은 건축특성화 교육과정으로 현장실무실습 교육과정을 통하여 창조적인 건축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운영
■ 건축특성화 교육과정을 통하여 건축학위와 건축기사 자격증 취득 후 국내 건축 관련 우수기업 취업 교육과정과 서울권 대학교
건축 관련학과 편입 특성화 교육과정을 운영
■ 건축교육과정은 현장실무실습 위주의 교육과정으로 현장중심의 교수진 편성과 현장실무실습을 통한 건축교육과정 중심으로 운영
<교육과정>
■ 취업특성화 교육과정
〔건축전공학위 취득+건축자격증 취득+현장실무실습교육〕국내․외 우수업체의 산학협력 교육시스템으로 취업
■ 편입특성화 교육과정
〔건축전공 학위취득+건축자격증 취득+편입(실기고사+영어)〕서울권 건축대학교에 3학년 편입
<학위취득 및 교육기간 안내>
■ 건축전문학사학위 취득과정
교육기간 3학기(학점은행제 66학점+건축산업기사 16학점= 82학점)
〔건축산업기사 취득 후 취업이나 일반편입을 통하여 서울권 건축대학에 3학년 편입〕
■ 건축학사학위 취득과정
교육기간 5학기(학점은행제 105학점+건축산업기사 16학점+건축기사 20학점= 141학점)
〔건축기사 취득 후 취업이나 학사편입을 통하여 서울권 건축대학에 3학년 편입학〕
<교육내용>
■ 취업특성화
이론 : 자격증 취득(건축산업기사, 건축기사 등)을 위한 건축전공 학습과목 편성
실습 : 자격증 취득(건축제도, 건축설계, 스케치, CAD설계 등)을 위한 학습과목 편성
현장실무실습 : 시공, 설비, 전기, 생태건축, 목조건축, 황토건축 등을 위한 학습과목 편성
■ 편입특성화
이론 : 자격증 취득(건축산업기사, 건축기사 등)을 위한 건축전공 학습과목 편성
실습 : 자격증 취득(건축제도, 건축설계, 스케치, CAD설계 등)을 위한 학습과목 편성
편입준비 : 편입영어, 전공실기고사, 스케치 등의 학습과목 편성
2016년 3월 건축학위과정 신입생 상담은
입학상담실 02-359-6779, 건축교육원 직통 070-7726-4443 / 010-9745-3133 으로 문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토지사랑
일본 도쿄에는 어린이들을 위한 꿈의 주택이 지어져있어 눈길을 끌고 있다.
LEVEL architects가 건축한 이 집은 일반 주택과 달리 아이들이 집안에서도 미끄럼틀을 탈수 있게끔 설계됐다.
거실로 오르내릴때 계단들과 미끄럼틀 통로를 이용한다.
자료공유:ruwhitejaguar.livejournal.com
출처 전원의향기
자연과 건물과의 조화를 이룬 삶의 휴식공간
전원주택으로 가는 발걸음에 ‘집’은 절반의 이유일 뿐, 나머지 절반은 ‘자연’임에 틀림없다.
집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탁월한 동선과 설계를 보여준 이 집은 내외부가 언제든 소통하며
자연과 하나 되는 건강한 삶을 위한 휴식 공간으로 지어졌다.
↑ 땅을 크게 훼손하지 않게끔 앉혀진 두 동의 건물
↑ 건물들 사이에 작은 못과 마당이 있어 전원생활에 야외활동을 더한다.
HOUSE PLAN
대지위치 경기도 양평군
대지면적 1239.67㎡(375평)
건물규모 1층
건축면적 195.04㎡(59평)
연면적 195.04㎡(59평)
건폐율 20%
용적률 80%
주차대수 3대
최고높이 7m
공법 기초 – 줄기초, 지상 – 철근콘크리트
구조재 철근콘크리트
지붕재 철근콘크리트
단열재 펙트론 열반사단열재, 인슐레이션 50㎜
외벽마감재 노출콘크리트
창호재 공간창호
건축설계 르몽드레죠(주) 곽데오도르
인테리어설계 르씨지엠 구만재
시공 C.N.E(건축과환경) 031-771-8788 http://blog.naver.com/ire700
건축비 3.3㎡(1평)당 700만원
↑ SECTION
↑ 울창한 숲속에 폭 싸인 주택. 본동 지붕으로 실내 보이드공간에 심긴 나무가 빼꼼히 고개를 내밀고 있다.
골짜기 깊은 곳 야트막한 산 능선에 자리한 주택단지. 내로라하는 건축가들의 작품이 한집 건너 한 집씩 있는 이곳에
간결하면서도 웅장한 노출콘크리트 주택이 들어섰다.
대부분 주말주택으로 사용하는 이 단지는 지인들에게 알음알음 개방된 프라이빗한 땅이다.
이곳의 집들은 자연 속에 폭 파묻혀 주변과 하나 된 모습을 보이는 점이 다른 주택단지들과는 확연히 다르다.
건물은 능선을 깎아내지 않고, 그 경사를 이용해 단차 구분을 냈다. 건물 앞쪽은 경사면으로부터 삐쭉이 튀어나왔는데,
이는 자연스럽게 필로티 구조를 만들어내며 흥미로운 외관을 형성한다.
단층 주택임에도 2층짜리 건물로 보이는 이유다.
이런 자유로운 형태를 표현할 수 있는 구조재로 철근콘크리트만 한 것이 없다.
또한, 별다른 치장 없이 거대한 건물의 외형을 강조하기에 건축가들 사이에서 ‘솔직한 재료’라 평가받는
노출콘크리트 마감이 제격이었다. 이 집도 콘크리트의 매끈한 노출면이 매스의 거대한 느낌을 강조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건물 뒤편으로 돌아가면 정면의 웅장한 모습과는 사뭇 다른 단정한 단층주택의 모습이 펼쳐진다.
뒤쪽의 언덕에서 바라보면 건물은 땅과 하나 되어 폭 파묻혀 있는 느낌이다.
대지와 순응한다는 표현이 적절할 것이다.
↑ 동쪽의 큰 창으로 아침햇살을 가득 받아들일 수 있도록 배치했다.
본래 2층으로 계획되었지만, 평소에는 부부만 기거하기에 2층을 분리해 별동으로 앉혔다는 설명이 인상적이다.
둘이 살기에는 단층이 좋고 관리도 편하다는 이유다.
집에는 도심에서 지내던 건축주 부부가 노년의 삶을 고즈넉이 즐길 수 있는 장치들이 곳곳에 산적해 있다.
건물이 위치한 양평이라는 땅에서부터, 언덕을 뒤에 두어 언제든 산 속에 있는 기분을 느낄 수 있는 점,
아침잠이 적은 부부를 위해 동쪽에 큰 창을 내어 햇살과 함께 이른 하루를 시작할 수 있게 한 점 등이 그것이다.
거실과 주방을 하나의 구역으로,
그리고 서재와 안방을 또 하나의 구역으로 설정해 오가는 움직임도 명료하고 단정하다.
↑ 건물 안쪽 가장 내밀한 곳에 위치한 서재. 왼쪽 슬라이딩 도어 너머에는 안방이 위치한다.
↑ 거실과 서재를 잇는 연결부에 중정을 만들어 채광을 좋게 하고 소정원을 감상할 수 있게 했다.
HOUSE SOURCES
내벽 마감 수성페인트
바닥재 원목마루
욕실 및 주방 타일 이태리
수전 등 욕실기기 아메리칸스탠다드
주방 가구 한우리아트
조명 램프랜드
현관문 일진게이트 알루미늄도어
방문 제락
아트월 멀바우
붙박이장 한우리아트
데크재 멀바우 원목 후로링
↑ PLAN – 1F
↑ 거실 안쪽에 위치한 다실
↑ 부부만을 위한 욕실공간
가운데 중정부는 이 집의 백미다. 주변은 자연 그대로 둔 채, 건축주가 가꿀 수 있는 최소한의 정원을 들인 것.
하지만 이 또한 온실처럼 꽉 막혀 인위적인 형태가 아닌, 사계절을 오롯이 담도록 야외와 연결되어 있어
자연 일부를 집 내부로 빌린 형태다.
건물 오른편에 위치한 보조동은 주말에만 들르는 자녀세대를 위해 최대한 단출하게 만들었다.
두 개의 건물 사이에 난 작은 길과 마당은 두 건물을 잇는 매개공간으로 이곳에서 손주가 뛰어 놀고,
온 가족이 모여 바비큐파티를 할 것이다.
이 집은 젊었을 적 열심히 일한 부부를 위해 그야말로 ‘여유로운 휴식’을 선사한다.
↑ 뒷편 언덕에서 바라본 건물의 모습.
출처 : 월간 < 전원속의 내집 >